카테고리 없음

Springboot WebApplication Type / @RestController

Stater 2019. 11. 12. 09:20

Springboot WebApplication Type

- NONE

- SERVLET

- REACTIVE (SPRING 5.0 추가 된 비동기 처리와 논 블로킹 입출력을 지원하는 웹 플럭스를 적용할때 사용한다)

 

만일 소스에서 [Springboot WebApplication Type] 설정을 했더라도 application.properties에서 기본 설정을 해두었다면

우선순위에 의해서 [application.properties]에서 설정된 우선 순위로 실행이 된다.

 

스프링부트 포트 설정 관련방법
##WebApplication Type Setting
spring.main.web-application-type=servlet

##Server Setting
server.port=8000

 

포트 번호를 0으로하면 현재 사용되지 않는 포트 번호가 랜덤으로 할당된다.

 

스프링4 부터 @RestController

@RestController

- 사용함으로써 REST 방식의 응답을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구현 하도록 지원한다.

 

@Controller을 사용 했으면 해당 메소드의 리턴 타입에 해당하는 View 페이지를 만들어야한다. 하지만

@RestController을 사용함으로서 REST 방식의 응답을 처리 할 수 있게 된다.

(파라미터의 문자열이 그대로 리턴 되는 문자열이 브라우저에 그대로 출력 된다. 따라서 별도로 화면을 만들어줄 필요가없다.)

 

package com.rubypaper.chapter01.controller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
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BoardController {
    public BoardController()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--------->BoardController 생성");
    }

    @GetMapping("/hello")
    public String hello(String name){
        return "Hello : "+name;

    }
}

 

반응형